본문 바로가기

셀피아 소개

셀피아 / 미송수량 사용법 발주관리 통합재고관리솔루션 재고관리

 

안녕하세요! 셀피아팀 입니다.

 

오늘은 미송수량 기능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상품관리 > 상품통합관리] 메뉴에서 확인하면, 재고 값 사이에 미송 수량이라는 컬럼이 있습니다.

 

참고로 셀피아의 컬럼명 아래애 밑줄표시가 되어있는 곳은 타이핑으로 수기 작성이 가능한 곳입니다.

 


미송수량 이란?

미송수량은 아직 발주처에서 배송이 되지 않은 수량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발주를 100개를 넣었는데, 제조사 사정상 70개만 입고가 되었다면 나머지 30개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겠죠?

 

이럴 경우에 미송수량에 30을 입력해 놓으면 추후 잔여 물량이 입고될 때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송수량 환경설정

 

[SELLPIA > 환경설정 > 재고관련설정]

 

위의 환경설정 메뉴에는 입고 시 미송수량 설정 방법이라는 설정값이 있습니다.

 

미송수량 세팅 방식 : 수동으로 관리

미송수량 차감 방식 : 입고시 자동 차감

 

설정의 사진과 같이 차감 방식으로 세팅되어 있다면 훨씬 편리하게 미송수량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좀 전의 예시처럼 위의 상품에 미송수량을 30개를 입력해 놓은 상태에서

 

발주처에서 10개를 추가로 보내 입고 작업을 하는 상황을 재연해 보겠습니다.

 

입고 타입이 [구매입고] 로 설정되어 있어야 미송 수량에서 차감됩니다. (기타입고, 반품입고 제외)

 

구매입고로 10개를 입고 처리하였습니다.

 

이제 다시 상품통합관리에서 해당 상품의 미송수량을 확인하면 자동으로 10개가 차감되어 20개로 세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발주 연동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재고관리 > 신 통합발주 > 자동발주]

 

셀피아 기능 중 자동으로 발주서를 생성해 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의 기타 옵션을 확인하면 [미송수량 발주 제외]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미송수량은 이미 구매완료하여 발주가 된 수량이기 때문에 해당 수량만큼은 입고 예정으로 판단해

 

자동으로 발주서에서 해당 수량만큼 차감하여 발주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미송수량 로그 확인방법

 

미송수량도 작업로그가 남기 때문에 언제 세팅되었고 누가 세팅했는지 한눈에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 상품통합관리에서 확인하는 방법

 

상품통합관리에서 해당 상품의 미송수량 로그를 확인하고 싶다면 [우클릭-미송수량 로그] 메뉴를 클릭할 수 있습니다.

 

 

 

방금 테스트 한 미송수량이 차감된 내역과, 바로 직전 수량을 입력한 로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차감된 경우 개별상품메모에 기록이 남게 됩니다.

 

작업자와 등록일, 시간까지 모두 확인 가능합니다.

 

 

 

2. 미송수량 로그 메뉴

 

꼭 상품을 우클릭 하지 않더라도 별도의 메뉴에서 진입할 수 있습니다.

 

[재고현황 > 미송수량 로그]

 

상품통합관리의 우클릭 창은 자동으로 해당 상품을 검색한 상태로 창이 열리고

 

위와 같이 메뉴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새롭게 창이 생성되어 검색 조건을 입력하여 검색하시면 됩니다.

 

동일한 메뉴이니 편하신 방법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셀피아의 기능 중 미송수량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언제든 궁금하신 기능이 있다면 편하게 아래의 카카오채널로 문의주세요!

 

감사합니다.